컨텐츠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신구대학교

부속기관 바로가기 학과사이트 바로가기

1전산응용도면기초 Basic CAD

CAD를 스스로 설치하고, 전체 화면 구성 요소를 파악하며, 반복연습을 통해 원하는 도형을 만드는 능력을 배양한다.

2조경설계도서기초 Basic Landscape Books

조경설계 도면제작에 필요한 제도용구와 기구의 사용법을 숙달하고, 기본 도법의 이해와 구조, 재료, 공법을 표현하고 해독할 수 있는 기초 제도능력을 배양한다.

3조경수목 Landscape Plants

조경수목의 명명법과 수목의 조경학적 가치, 수목의 종류별 특성을 파악하여 설계 및 시공 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4조경스케치연습 Landscape Sketch Practice

다양한 드로잉 실습을 통해 기초적인 소묘기법과 경관에 담겨있는 조형요소의 기본적 이해를 돕고 이를 조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배양한다.

5조경시공기초 Basic Landscape Construction

외부 경관을 형성하는 조경재료의 종류 및 유형을 숙지하고, 조경재료의 유형별 사례 검토 및 현장 답사를 통해 조경재료의 선정과 주변 경관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다.

6조경학원론 Introduc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학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이론과 조경의 영역별 제 분야를 소개하고 상호관계를 이해시킴으로써 조경학의 입문자들에게 필요한 기본 개념을 익힌다.

7전산응용도면(CAD) 작성 Drawing up CAD

CAD의 좌표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그리기 명령어와 편집 명령어를 익혀서 목적에 맞는 객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다.

8정원설계 Garden Design

주택정원설계에 필요한 요소 및 기법을 알아보고, 이를 손제도와 모형 제작을 통해 구현 실습한다.

9조경관리기초 Basic Landscape Maintenance)

조경관리 전반에 대한 내용을 크게 유지관리, 운영관리, 이용관리로 구분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10조경사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동서양의 시대별 조경양식과 조경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소개함으로서, 경관구성약식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 조경의 독창적 기법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11조경측량 Landscape Surveying

측량학의 기본적인 기술과 방법을 소개하고 실습 및 내업 작업을 통해 측량기술을 습득시켜, 실무에서 해당 부지의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여 도시하므로서 조경계획 및 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2조형기초 Basic Modeling

공간을 구성하는 원리를 습득하고, 이를 공간 디자인에 적용한다.

13컴퓨터그래픽 Computer Graphics

조경설계분야에서 설계를 위한 표현방법(Presentation)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2D용 컴 퓨터그래픽(Computer Graphics) 소프트웨어의 활용방법을 익히고, 실제작품 제작실습을 통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의 능력을 배양한다.

14표현기법 Presentation Practice

조경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조경재료의 표현능력과 도면의 직적효과 충족을 위한 컬라링 기법(수채화, 포스터)을 실습함으로서 실무에 활용하도록 한다.

15기초적산 Basic Estimation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웠던 수학 이론 중 조경 적산에 필요한 기초수학 과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적산 능력을 배양한다.

16수목 및 잔디식재공사 Construction of Tree & Lawn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현장을 파악하고 식재계획을 수립한 후 수목 굴취하기, 수목운반하기, 수목가식하기, 식재기반 조성하기, 교목 식재하기, 관목 식재하기, 지피 초화류 식재하기, 종자뿜어붙이기 등의 공사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17조경기반시설 및 포장공사 Construction of Basic Landscape Structure & Paving

조시공 전 현장 상태 파악과 현황측량 등을 통해 부지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여 부지 정지공사를 시행하고, 현장 시공을 지원하기 위한 진입로, 현장 사무실, 가설창고, 급배수 및 관수시설, 빗물침투 및 저장시설 등을 설치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18조경기본설계 Landscape Basic Design

조경기본계획을 검토하고, 기본설계 도면을 작성하며, 공간별, 공종별 상세계획과 개략공사비 작성을 하는 기본설계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19조경이미지작성 Drawing up Landscape Image

계획과 설계 과정의 성과물 중 시뮬레이션, 조감도, 투시도, 스케치 등을 전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제작하는 능력을 기른다.

20충해관리 Harmful Tree Insect

수목에 해를 주는 곤충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속적인 경관을 유지하기 위한 방제법을 터득한다.

21환경조사분석 Investigation of Environme

22국가기술자격증연습 Pratice of National Skill License

23병해관리 Tree disease management

조경수목 병해의 감정/진단/처방법과 병의 발생원인 및 병해 종류별 식별기술을 익힌다. 특히, 외과수술, 뿌리치료기술 등의 진단을 통한 처방 능력을 배양한다.

24수량산출과 일위대가 Production quantity & Unit Cost

25조경기본계획수립 Founding Landscape Master plan

26조경기본구상 Basic Idea of Landscape

27조경시설설계 Design of Landscape Facilities

28조경식재설계 Landscape Planting Design

조경수목의 생리적, 생태적, 미적 특성과 식재를 통한 미적, 건축적, 공학적 효용을 숙지시키고 실제 식재설계 실습을 통하여 조경설계 및 시공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9지형기반시설설계 Design of Basic Landscape Structure

지형특성 및 설계조건에 맞게 공원 및 조경대상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각자의 아이디어를 조경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30생태복원공사 Construc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환경생태에 대한 기초지식과 조경분야에의 응용방법을 습득하여 친환경적인 조경계획, 설 계, 관리 및 사면녹화, 자연형 하천계획 등의 생태복원분야의 능력을 배양한다.

31인허가용도서작성 Drawing up Books for Construction Consent

조경심의에 필요한 인허가용도서, 설계도면, 설계보고서 등의 도서를 조경관련 법규에 적용시켜 만드는 능력을 배양한다.

32잔디관리 Turfgrass Maintenance

잔디의 특성과 관리기술을 익혀 조경관리 실무적응능력을 배양한다. 잔디관리에 필요한 기초이론과 제반 기술을 숙달하여 골프장, 조경회사, 스포츠시설 등에 취업하여 잔디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향상한다.

33정지전정관리 Training and Pruning

연간 정지전정 관리계획 수립, 굵은 가지치기, (교목류) 가지 길이 줄이기, 가지 솎기, 생울타리 다듬기, 가로수 가지치기, 상록교목 수관 다듬기, (관목류) 화목류 정지전정, 형상수 만들기, 소나무류 순 자르기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34조경공사비내역서작성 Making out of Landscape Construction statement

기초적산, 수량산출과 일위대가 과목을 통해 배운 이론을 대상지에 실제 적용하여 최종 공사비를 산출한다.

35조경구조물 및 시설물 공사 Construction of Landscape Structure and Facilities

조경식재 및 시설물공사 등을 하기 위한 구조물 설치를 위한 기반조성과 경관구조물, 식생구조물, 수경시설, 조경석 등을 목적에 맞게 설치하고 마감하는 공사를 안전하게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36조경설계프레젠테이션 Presentation of Landscape Design

계획과 설계 과정의 성과물을 제작하고 작성 시에 유형별로 PPT, 패널, 시뮬레이션, 모형제작, 조감도, 투시도, 스케치 등을 제작하여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능력을 기른다.

37조경화훼 Landscape flower

지피/초화류의 배식, 생육조건, 경관구성기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대상지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38수목보호관리 Arboriculture Practice

조경수목의 보호관리를 위하여 수목의 구조, 생장, 피해의 종류와 치료기술, 농약관리 등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39실내조경공사 Construction of Indoor Landscape

계획된 설계도서를 기준으로 실내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기반시설, 시설물·점경물과 실내식물 등으로 자연형 경관을 만들거나 미적인 기능을 부각하여 인공적인 공간의 이질성을 완화하는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40입체녹화공사 Construction by 3Dimensional Greenery System

인공구조물이나 공간의 입체녹화를 위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자재를 운반하여 녹화기반을 조성하고, 벽면녹화, 인공지반 녹화, 지붕녹화 및 텃밭 등을 조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41조경공무 및 현장관리 Lanscape Official Business and Site Management

조경공사 착공 이전의 검토부터 최종 준공까지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한 설계도서 검토, 실행예산 편성, 시공계획서 작성, 현장 서류 준비, 하도급 발주, 자재 승인 발주, 설계변경, 기성고 작성, 준공 준비 등 공사 진행이 공정계획에 합당하게 실시되도록 공정을 운영하는 능력을 기른다.

42조경설계도서작성 Drawing up Landscape Design Books

조경공사에 필요한 설계 설명서, 시방서, 예정공정표, 설계도면집, 인허가용도서, 설계보고서 등의 도면과 서류를 작성하고 취합하는 능력을 기른다.

43초화류관리 Maintenance of Herbaceous Plant

계절별 초화류 조성 계획, 시장조사, 초화류 시공 도면작성, 초화류 구매, 식재기반 조성, 초화류 식재, 초화류 관수, 초화류 월동 관리, 초화류 병충해 관리, 초화류 잡초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

44조경취업전략과 실전 Landscape Practical Strategy and Training

지속적으로 직업기초역량(커뮤니케이션, 예절과 매너)을 함양하게 하며 취업활동에 필요한 기초서류를 완성하게 한다. 면접에 적합한 태도를 기르게 하는 등 취업에 필요한 모든 역량을 개발하게 하여 예비 전문인으로 성장하도록 한다.

부속기관

학과사이트